안정적인 주거 공간은 안정적인 삶을 살아가기 위해  필수적이다. 따라서 때로는 절박하게 어떤 집을 사게 되기도 하고 가격이 터무니없이 높다고 생각하면서도 빚을 내서 집을 구매하기도 한다. 그리고 거의 평생을 이 빚을 갚으며 힘든 생활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사람들은 부동산 가격 폭등의 매우 큰 피해자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쪽에서는 부동산에 대한 투기적 수요도 존재한다. 또는 특정인의 수요에 실제 수요와 투기 수요가 혼재되어 있기도 한다. 투기적 수요에 국한해서 생각했을 때, 한국의 부동산 가격을 둘러싼 현상들에서 ‘벌거벗은 임금님’ 이야기의 요소들을 볼 수 있는 것 같다. 


  언젠가 뉴스를 보다가 들은 이야기다. 아파트 가격의 오름세가 우려된다는 보도였는데 보도 중에는 한 부동산 중개인을 인터뷰한 부분이 있었다. 그 부동산 중개인은 대략 다음과 같이 말했다. "현재 이 아파트 가격이 3억원 5천 정도인데, 한 두 채만 4억원에 거래되면 전체 이 아파트 단지의 모든 아파트의 시세가 4억 원으로 뛰게 된다."


  해당 아파트는 주변 여건을 포함하여 상품으로서의 본질에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그럼에도 다른 사람들이 더 높은 가격에 구입을 했다는 이유만으로도 가격이 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실체나 내용의 변화가 없는데도 사람들은 그런 변화가 마치 있었던 것처럼 더 많은 돈을 주고 그 아파트를 사게 된다. '벌거벗은 임금님'이야기에서 황제의 옷이 그 실체가 없었던 것처럼, 이 5천만 원의 가격 상승분도 그에 상응하는 실체가 없다. 


  내용이나 본질이 없더라도 '시늉'이 그 자리를 충분히 대신할 수 있다. 사람들은 강남 아파트가 10억 원 인 것처럼 시늉한다. 사람들은 서로 그런 가격으로 매매를 하고, 은행에서는 그 아파트를 담보로 그에 못지 않은 큰 돈을 대출 받을 수도 있다. 아파트를 여러 채 가지고 있는 사람은 큰 부자로 여겨진다. 아파트를 사기 위해서는 엄청난 돈을 모아야 한다. 이러한 일련의 이야기들과 행위들은 모두 '벌거벗은 임금님' 이야기에서의 '시늉'에 해당한다. 그것이 실제로 경험된 사실들일지라도 마찬가지다. 황제의 옷이 없는데도 마치 있는 것처럼 행동을 했듯이, 사람들은 아파트의 실제 원가와 본래의 가치가 낮은데도 마치 높은 것처럼 행동하고 있다. 포장이 내용을 압도하고 있고, 태도가 본질을 압도하고 있다.

  

  사람들이 애써서 저항하거나 의심하지 않는 이유는 이것이 대세이기 때문이다. 아파트 가격이 수억 원에서 수십 억 원 쯤은 되는 것이 현재의 대세이고 흐름이다. 개인의 힘으로 이런 흐름을 막거나 대세를 역전시킬 수는 없다. 다른 사람들도 황제의 옷이 보이는 것처럼 행동하고 있으므로 나도 그에 따르는 것이 크게 이상할 것은 없다. 


  대중은 피해자인가 가해자인가? 물론 피해자이다. 당신은 터무니 없이 높은 아파트 가격을 감당하기 위해 평생동안 궁핍한 생활을 하면서 심리적인 압박감을 느껴야 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가해자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당신이 높은 가격을 감당하자, 다른 사람들도 당신의 행동을 근거로 높은 가격을 감당하려고 한다. 당신이 황제의 옷이 보이는 것처럼 행동하면 다른 사람들도 옷이 보이는 것처럼 행동할 가능성이 커진다. 당신의 행동이 그들의 행동을 합리화하는 ‘이유’가 되기 때문이다. 즉, 당신은 그들에게 ‘이유’를 빌려준다.


  한국의 부동산 사례에서 '꼬마의 외침'은 무엇일까? 부동산 경기의 침체, 혹은 '거품이 꺼지고 있음'을 알리는 최초의 거래, 즉, 매우 낮아진 가격에서 이루어지는 최초의 거래를 의미할 것이다. 가격이 폭락하면 그제서야 사람들은 진실이 무엇인지 깨닫고, 지금까지의 행동들이 시늉이었음을 확신하게 될 것이다.


  지금까지의 논의가 특정한 경향을 너무 두드러지게 표현했는지도 모른다. 그렇다 하더라도, '내가 그 아파트의 가치가 얼마라고 생각하느냐'가 ‘다른 사람들이 그 아파트를 얼마에 주고 샀는지’에 상당한 영향을 받고 있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 사람들은 아파트의 가치가 얼마인지 스스로 합리적으로 생각하고 판단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판단을 빌려와서 내 선택의 근거로 삼고 있는 것 같다. 그 다른 사람은 스스로 판단을 내렸을까? 아니다. 그 역시 또 다른 사람들로부터 ‘이유’를 빌려왔을 가능성이 크다. 이것은 순환논증이다. 사람들은 아파트 가격에 대해 스스로 동의하지 않았으면서 마치 동의한 것처럼 행동하고 있다. 이런 면에서 보면 사람들은 생각보다 합리적이지 않은 것 같고, 세상은 생각보다 허술해 보인다. 나는 질문한다. "순환논증의 출발점은 어디인가?" 즉, 한국의 부동산 사례에서 작정을 하고 사기(詐欺)를 치기로 마음먹은 '재단사'들은 존재하는가? 재단사들이 존재한다고 가정해보자. 그렇다면 사람들은 이들의 사기에 당하고만 있어야 하는가? 이들이 우리를 노예로 만들도록 내버려 두어도 좋은가? 황제의 옷과는 달리 부동산 문제는 우리의 삶과 직결된 매우 중요한 문제다. 이번에는 꼬마의 외침이 들린 후, 창피함만으로 끝나지 않는다. 




'나는 말한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실  (0) 2018.06.24
벌거벗은 임금님 3 - 민주주의와 선거  (1) 2017.09.30
벌거벗은 임금님 1  (0) 2017.08.30
청춘의 끝자락에서  (0) 2017.08.20
동의와 문맥  (0) 2017.07.28